주사약(주사용 약물)과 약물 투여 방법의 선택 Injectable drugs and how to select of way to medicate

posted in: Uncategorized | 0

주사약(주사용 약물)과 약물 투여 방법의 선택 Injectable drugs and how to select of way to medicate

 

lv_1-2s.jpg

그림 45. 혈관 주사 약물. 보통 정맥혈관을 통해 주사용 약물을 주사로 주기도 하지만 드물게는 동맥을 통해서 또 탯줄 혈관을 통해서도 약물을 혈관으로 준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injection_2s.jpg

사진 44. 근육 주사용 약물과 피하 주사용 약물.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 주사 약(주사용 약물)에는 
    • 피부층 내 주사 약물, 
    • 피하 주사 약물, 
    • 근육 주사 약물, 
    • 혈관 주사 약물, 
    • 골수 주사 약물 등 여러 종류의 주사용 약물이 있다. 
  • 피부층 내 주사(Intracutaneous injection/Intradermal injection), 
  • 피하 주사(Hypodermic injection), 혈관 주사(Intravenous injection), 근육 주사(Intramuscular injection), 골수 주사(Intraosseous injection), 척수 주사(Intrathecal injection) 등 여로 종류의 주사가 있다.
  •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중한 병을 응급으로 치료 할 때 가능한 한 치료약물이 표적 장기나 조직으로 직접 주입돼서 약물 효과가 즉시 나타나서 치료효과가 즉시 나타 날 수 있게 약물을 투여해 치료하는 것이 원칙이다. 
  • 치료 효과가 가장 좋은 약물을 가장 적절한 투여방법으로 투여해 치료한다. 
  • 어떤 위중한 질병을 즉시 적절히 치료를 하지 않으면 그 질병으로 인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고생 할 수 있고 장애자 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사망 할 수 있다. 
  •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중한 질병을 경구로 투약해 치료하면 약물이 입, 식도, 위, 소장관 속으로 내려가는 시간이 더 많이 걸리고 위장관 벽 점막층에서 흡수되는 시간도 길어진다. 
  • 그래서 위장관 벽 점막층에서 피 속으로 흡수되고 표적 장기까지 약물이 도착해서 약물의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총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약물이 표적 기관에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약물 투여 방법을 선택 한다. 
  • 치료효과가 즉시 나타날 수 있고 위장관 벽 점막층에서 흡수해 여러모로 영향을 받지 않고 약물의 흡수에도 안전성이 있게 혈관 주사나 근육 주사 등으로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치료 원칙이다. 
  • 경구용 약물로 어떤 질병을 치료할 때 약물을 경구로 투여한 후 어떤 이유로 바로 구토하거나 설사를 하면 경구로 투여했던 약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토할 수 있고 위장관 벽 점막층에서 흡수되지 않은 채로 설사 변으로 배설될 수 있다. 
  • 설사를 할 때는 경구로 약물을 투여하면, 경구로 섭취했던 경구용 약물이 위장관 벽 점막층 에서 위장관 벽 점막층 통과해서 핏속으로 정상적으로 흡수되지 않을 수 있다. 
  • 설사를 일으킨 위장관 질환으로 위장관 연동이 항진되고 위장관 벽 점막층에 생긴 염증으로 약물이 잘 흡수되지 않는다. 
  • 그래서 경구로 투여한 약물이 설사 변과 같이 항문으로 배설될 수 있다. 
  • 경구로 복용한 약물이 위장관 벽 점막층을 자극할 수 있다. 이런 복합적인 요인으로 더 설사 하게 된다.
  • 경구용 약물로 어떤 질병을 치료하려면 약물이 위장관 벽 점막층을 통과해서 핏속으로 흡수되지 않아 혈중 치료 농도까지 미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구토 설사를 할 때는 경구용 약물로 치료해서는 안 될 때가 많다. 
  • 에피네프린(Epinephrine) 주사약, 디티에이피(DTaP) 등 예방접종 백신, 그 외 어떤 종류의 약물은 경구로 투여하면 위장관 내에서 약물 치료력이 없어진다. 
  • 그래서 경구용 약물 형태로 된 약물을 만들 수 없고 주사용 약물 형태로 제조한다. 
  • 주사용 약물이나 경구용 약물로 비교적 쉽게 치료될 수 있는 중이염, 또는 편도염 등을 치료할 때 구토 하지 않고 설사하지 않으면 가능한 한 경구용 약물로 치료한다. 
  • 부스럼 등 경미한 피부병을 치료할 때는 가능한 한 국소 도포용 약물로 치료한다. 
  • 급성 후두개염, 뇌막염, 또는 패혈증 등 생명을 위협하는 위중한 감염병, 심한 설사를 하거나, 무슨 음식물이든 먹으면 구토하면서 심하게 앓는 위장병 등은 경구용 약물로 치료하는 것보다 주사용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 원칙이다. 
  • 설사 하면서 앓는 폐렴이나 다른 어떤 병을 경구 약물을 투여해 치료하면 약물이 위장에서 잘 흡수되지 않고 그 약물이 설사 변과 함께 대변으로 배설될 가능성이 많다. 
  • 가능한 한 경구용 약물이 아닌 주사용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 치료원칙이다. 
  • 뇌막염, 골수염, 또는 패혈증 등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중한 병을 경구용 약물로 치료하면 약물 성분이 뇌막염이나 골수염 등의 표적 병소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혈중 치료 약물 농도에 도달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혈관주사 약물로 치료한다. 
  • 어떤 병은 경구로 약물을 투여해 치료할 수 있고 혈관 주사로 투여해 치료할 수 있다. 치료의 효과도 같고 치료비도 같게 들 경우에는 경구용 약물로 치료해 주는 것이 좋다.
  • 가능한 한 주사로 치료하는 것보다 주사를 주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은 더군다나 소아들에게는 아주 좋은 치료 방법이다. 
  • 그렇다고 해서 약물을 주사로 투여해 치료해야 할 병을 경구로 치료해서도 안 되고 경구용 약물로 치료해야 할 병을 주사용 약물로 치료해서도 안 된다. 
  • 약물을 투여해서 치료하는 방법은 이와 같이 늘 확실히 구분되어 있지 않지만 어느 정도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다. 
  • 이런 문제는 어디까지나 의사에게 전적으로 맡기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 그러나 아이들에게 있는 어떤 병을 치료할 때 병의 종류, 중증도, 증상 증후, 합병증, 가정, 부모, 환아의 나이 등에 따라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이 달라 질 수 있다. 
  • 소아과에서는 많은 경우, 의사, 부모, 환아가 서로 의견을 모아 약물을 주사로 투여해서 그 질병을 치료할 것인가 약물을 경구로 투여해서 그 병을 치료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다른 방법으로 약물 투여를 해 치료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 그렇게 치료해야 의사, 부모, 환자 상호간에 신뢰감이 돈독해질 수 있고 병이 잘 낫는다.

Injectable drugs and how to select of way to medicate

lv_1-2s.jpg

Figure 45. Injectable drugs.

Drugs for injection are usually given by injection through veins, but in rare cases, drugs are given through arteries or umbilical cord blood vessels.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injection_2s.jpg

Photo 44. Drugs for intramuscular and subcutaneous injection.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Injectable drugs (injectable drugs) include:

o Injectable drugs in the skin layer;

o Subcutaneous injection drugs; o intramuscular injection drugs;

o Injectable drugs;

o There are several types of injectable drugs, including bone marrow injection drugs.

• Intracutaneous injection/Intradermal injection;

• There are several types of injections such as hypodermic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osseous injection, and intrathecal injection.

• When treating a serious, life-threatening disease in an emergency, it is a principle to administer the drug so that the therapeutic effect can be seen immediately after the drug is injected directly into the target organ or tissue as much as possible.

• Administer the drug with the best therapeutic effect in the most appropriate way for treatment.

• If any serious illness is not treated promptly and properly, it can cause mental and physical suffering, disability, and even death.

• When a serious, life-threatening disease is treated by oral administration, it takes more time for the drug to travel down the mouth, esophagus, stomach, and small intestine and to be absorbed from the mucous membran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lect a drug administration method that allows the drug to reach the target organ as quickly as possible because it may take a long time for the drug to be absorbed into the blood from the mucosal layer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arrive at the target organ.

• The principle of treatment is to administer the drug by intravenous injection or intravenous injection so that the therapeutic effect can be seen immediately and it is absorbed from the mucosal layer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is not affected in many ways and the absorption of the drug is safe.

• When treating certain diseases with oral medications, if you vomit or have diarrhea for any reason immediately after taking the medication orally, you may vomit all or part of the orally administered medication, and it will not be absorbed from the mucous membran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will cause diarrhea. can be excreted.

• If the drug is administered orally during diarrhea, the oral drug taken orally may pass through the mucosal layer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may not be normally absorbed into the bloodstream.

• Gastrointestinal diseases that caused diarrhea, which result in increased gastrointestinal peristalsis and inflammation in the mucosal layer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all, preventing drug absorption

• Therefore, orally administered drugs may be excreted into the anus with diarrhea and stool.

• Medications taken orally may irritate the mucous membran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Diarrhea is further caused by these complex factors.

• To treat certain diseases with oral medications, the drug may not pass through the mucous membran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be absorbed into the bloodstream, which may not reach therapeutic levels in the blood. So, vomiting and diarrhea are often not treated with oral medications.

• Epinephrine injections, vaccines such as DTaP, and other types of drugs, if administered orally, lose their therapeutic effec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 So it is not possible to make a drug in the form of an oral drug, but in the form of an injectable drug.

• When treating otitis media or tonsillitis, which can be treated relatively easily with injectable drugs or oral drugs, if there is no vomiting and diarrhea, treat with oral drugs as much as possible.

• When treating minor skin diseases such as bruises, use topically applied drugs as much as possible.

• Serious, life-threatening infectious diseases such as acute epiglottitis, meningitis, or sepsis, severe diarrhea, or gastrointestinal diseases that cause severe pain while vomiting after eating any food, are treated with injectable drugs rather than oral drugs.

• When pneumonia or any other illness caused by diarrhea is treated with oral medications, the drug is not absorbed well in the stomach and the drug is more likely to be excreted in the feces along with diarrheal stools.

• If possible, treatment with injectable drugs rather than oral drugs is a treatment principle. • When a serious, life-threatening condition such as meningitis, osteomyelitis, or sepsis is treated with oral drugs, the drug component may not be able to accurately and quickly reach the target lesion of meningitis or osteomyelitis to reach the therapeutic drug concentration in the blood. In this case, it is treated with intravenous drugs. • Some diseases can be treated by oral drug administration or intravenous injection. If the treatment effect is the same and the treatment cost is the same, it is better to treat it with an oral drug.

• If possible, treatment without injections rather than injections is a very good treatment for children.

• This does not mean, however, that a condition that should be treated by injection should not be treated orally for a condition that should be treated with an oral medication, and a condition that should be treated with an oral medication should not be treated with an injection medication.

• Methods of treatment by administering drugs are not always clearly differentiated, but they are clearly differentiated to some extent.

• I think it is right to leave these issues entirely to the doctor.

• However, when treating certain diseases in children, the method of administering drugs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severity, symptom, complications, family, parent, and age of the child.

• In many cases, in pediatrics, doctors, parents, and children come together to discuss whether to treat the disease by injecting drugs, orally administering drugs to treat the disease or other methods to treat the disease. decide

• Only with such treatment can trust between doctors, parents, and patients are strengthened and the disease can be cured.

출처  참조 문헌 Sources and references

  • NelsonTextbook of Pediatrics 22ND Ed
  •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
  •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 Red Book 32nd Ed 2021-2024
  • Neonatal Resuscitatio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www.drleepediatrics.com 제 6권 신생아 성장 발육 육아 질병
  • www.drleepediatrics.com제7권 소아청소년 감염병
  • www.drleepediatrics.com제8권 소아청소년 호흡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9권 소아청소년 소화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0권. 소아청소년 신장 비뇨 생식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1권. 소아청소년 심장 혈관계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2권. 소아청소년 신경 정신 질환, 행동 수면 문제
  • www.drleepediatrics.com제13권. 소아청소년 혈액, 림프, 종양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4권. 소아청소년 내분비, 유전, 염색체, 대사, 희귀병
  • www.drleepediatrics.com제15권. 소아청소년 알레르기, 자가 면역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7권. 소아청소년 피부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8권. 소아청소년 이비인후(귀 코 인두 후두)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9권. 소아청소년  안과 (눈)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 20권 소아청소년 이 (치아)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1권 소아청소년 가정 학교 간호
  • Red book 29th-31st edition 2021
  •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 21st Edition
  •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ition
  • Childhood Emergencies in the Office, Hospital and Community,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By Ross Lab. May 1989. p.10
  • Emergency care, Harvey grant, and Robert Murray
  •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 Immediate care of the acutely ill and injured, Hugh E. Stephenson, Jr
  • The Critically Ill Child, Diagnosis and Management, Edited by Clement A. Smith
  •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Children: The Role of the Primary Care Provider, America Academy of Pediatrics
  • Quick Reference To Pediatric Emergencies, Delmer J. Pascoe, M.D., Moses Grossman, M.D. with 26 contributors
  • Manual of Emergency Care
  • 응급환자관리 정담미디어
  •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이상원
  • Neonatal Resuscitation American heart Association
  • Neonatology Jeffrey J.Pomerance, C. Joan Richardson
  • Pediatric Resuscitatio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Stephen M. Schexnayder, M.D.
  • Pediatric Critical Care,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James P. Orlowski, M.D.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Gershon, Catherine Wilfert
  • The Harriet Lane Handbook 19th Edition
  •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 1권 소아청소년 응급의료 참조문헌과 출처
  • Other

Copyright ⓒ 2015 John Sangwon Lee, MD ., FAAP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